본문 바로가기

CS4

아이피와 포트 IP: 웹서버가 실행 중인 컴퓨터의 주소 -> 컴퓨터를 구분 포트: 하나의 컴퓨터에서 이용하고 있는 서버를 구분하기 위한 번호 -> 서버를 구분 참고 https://seokhee0516.tistory.com/entry/IP-DNS-Port포트-Server서버 IP, DNS, Port(포트), Server(서버) 란?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웹 서버라 불리는 프로그램이 웹 브라우저에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IP주소는 192.168.0.1 과 같은 숫자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외우기 쉽지 않다. 이런 이유로 IP 주소 seokhee0516.tistory.com 2024. 3. 16.
배경 지식 정리 - 클라이언트와 서버 클라이언트: 서버에게 요청하는 모든 프로그램 서버: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그 요청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응답) https://codingapple.com/unit/nodejs-2-what-is-server/ '서버'가 뭔지 세계 최고로 쉽게 설명해드림 - 코딩애플 온라인 강좌 0:34 서버를 현실에 비유하자면 1:12 그럼 네이버 서버한테 한번 요청해보자 3:02 멋진 프로그래밍 용어로 다시 정리해보자 & 요청의 종류 4개 6:33 우린 서버개발자로서 앞으로 어떤 코드를 짜게 codingapple.com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가 서버(스프링부트)에 이것저것 요청하면 서버가 처리해줌. 예)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에 주소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름으로써 정보 요청(여기선 데이터 요청). 그러면 서버는 그 .. 2024. 2. 24.
관계형 DB / SQL이란? / DBMS와의 차이 / 소프트웨어의 계층성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가장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RDB): 데이터를 2차원 표를 사용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 여기서 말하는 '관계(Relational)'란 2차원 표(테이블)를 의미한다.(입문 단계에선 둘을 같다고 봐도 무방함.) 익숙한 2차원 표로는 Excel이나 Google Docs로 대표되는 스프레드시트가 있다. - '데이터를 관리한다'는 건 종과 횡 2개의 축을 사용해 데이터를 목록화하는 방법을 떠올리면 된다. - 관계형 DB를 통해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층이 넓어졌다.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은 관계형 DB에 있는 'SQL'이라는 언어이다. 2. SQ.. 2024. 1. 4.
데이터베이스란? - 기본 기능과 종류 1.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를 보존하는 그릇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데이터를 모으고 관리하는 저장소 1-1.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기능 1) 데이터의 검색과 갱신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가 수행하는 조작에는 검색과 갱신이 있다. ※ 데이터 조작 시 중요한 점 - 데이터 관리 형식(포맷), 얼마나 효율적인가 - 데이터의 처리 성능(처리 속도) 2) 동시성 제어 (배타 제어) 비즈니스나 공공목적으로 이용되는 데이터베이스에는 보통 불특정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한다. 즉, 데이터베이스는 동시에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검색이나 갱신 처리를 받는다. 이때 갱신의 무결성을 어느 정도로 보장하는지, 즉 데이터를 얼마나 정상적인 상태로 보호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복수의 사용자가 같은 데이터를 .. 2024. 1. 1.